아래는 우연히 Von Clausewitz 라는 인명을 검색해보다가 발견한 블로그의 글이다.
그냥 참고용이긴하나, 사회생활하는데 조금 도움될 문구라고 생각한다.
전쟁(戰爭)
Carl von Clausewitz는 전쟁을 '나의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적에게 굴복을 강요하는 폭력행위다."라고 규정했다. 전쟁의 목적은 적에게 나의 의지를 강요하는 것이고 전쟁의 수단은 물리적 폭력이고 전쟁의 목표는 적이 저항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란 얘기다.
전쟁은 결국 적을 대상으로 한다. 자신의 안위를 위협하는 적의 존재가 전쟁의 탄생을 가능케 하고 전쟁의 탄생은 적의 창조에 의해 가능해 진다. 전쟁의 기술에 나오는 33가지 전쟁 전략 중에 첫 번째로 등장하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적이 누구인지를 명확히 하라: 동지와 적 (Declare war on your enemies: The polarity strategy)"
아군과 적군을 명확히 구분하고 적군을 컨트롤하고 제압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경주하는 것.. 전쟁의 시작은 적군을 정의하는 것이다. 명확하게 정의하면 할 수록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전쟁은 생명의 위협이 난무하는 전장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적은 표면적으로 나에게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나에게 손해를 끼치는 타인이 아니라 내면 속에서 나에 대한 컨트롤을 방해하고 나의 성장과 변화를 억제하는 그 무엇인 것 같다.
전략(戰略)
전략.. 누구와 경쟁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쟁터는 엄청 넓고 싸울 상대는 넘 많다. 반면, 자원은 턱없이 유한하다. 가진 자원 중에 가장 강력한 무기가 무엇인지 인지하고 그 무기가 잘 들을만한 배틀필드를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적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나를 명확히 정의한다는 것의 다른 표현이다. 나를 직시하고 내가 누구인가를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내가 전쟁과 경쟁을 전개할 공간이 정의된다.
전략은 결국 '어떤 시공간을 어떻게 점유할 것인가'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언제 어디에 있을 것인가?" 일반적으로 누구 만날 약속을 할 때 챙기게 되는 이 질문이 '전략'에선 매우 중요하다. "언제 어디에 있어야 유니크하게 보일 수 있는가?" 명확하게 정의한 시공간에 유니크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어야 고객의 주목을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자기 자신의 성찰. 이것만큼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게 없는 것 같습니다. 자기계발에 관심이 많아 이런 저런 세미나도 듣고 책도 보고 했지만, 역시 그 모든 것의 근간은 얼마나 자신을 아느냐인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관심이 관심만으로 끝나고,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하고 다시 게으른 생활을 반복하는 자신이 싫어지기도 하는데.. 이 글을 접하고 나니 그것만으로도 다시 할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이 생기네요.
사람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대상에 대해 주목을 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대상은 바로 '나 자신'이다. 의외로 나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형성되어 어디로 어떤 모습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무의식 속에 흘려 보내는 경우가 많다. 점점 주목이란 자원의 희소가치가 급상승하면 할수록 주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메타 정보(정보에 대한 정보)가 중요해 지듯이, 창의적/혁신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생각 자체를 생각할 수 있는 메타 사고의 중요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나의 주목에 대한 주목을 심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에 대한 정의를 더욱 정교하게 할 수 있고, '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록 '나'의 확장은 더욱 용이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