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aps'에 해당되는 글 51건
혼을 담다 2008.01.07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언어습관
Scraps | 2008. 3. 1. 19:50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주어진 일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고난에 부딪치게 마련, 누구나 고민은 한다.
하지만 고민하더라도 입 밖으로 내색하지 말라.
고민이 되든 안되든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일이다.
특히 당신이 상습적으로 고민을 풀어놓는 대상이 당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더욱 입을 다물어야 한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 능력은 이것밖에 안돼!! 라고 광고를 하고 다니는 격이되고 만다.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또한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서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잘 모르는데 설명을 듣고도 이해하지 못했는데도 무시당할까봐 쑥스러워서 등의 이유로 넘어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더 큰 실수를 부를수 있다.
모르는 것이 있다면 마음 속에 진정 의문이 있다면 씩씩하게 물어봐야 한다.
그러나 질문의 내용이 사실 확인이 아닌 방법이나 방안에 관한 것이라면 생각도 해 보기전에 일단 묻고보자는 태도가 문제가 있다.
무엇인가를 누군가에게 묻기 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찾아보라. 질문은 그 뒤에 해도 늦지 않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마라.  일이 잘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자에게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안 풀리면 (당사자 혹은 함께한 팀원으로부터)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마저 포함될 수 있다.


네!! 라는 답을 듣고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마라.
정말 그래도 되는지 그로인해 당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은 없는지 등을 두고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재차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공감을 얻어야만 안심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죄송해요. 라는 말을 남용한다.

죄송합니다. 몰랐네요..라는 말을 자주 쓰는가?
죄송하다는 말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말이다.
일처리 과정에서 만약 정말 당신의 잘못이 있다면 죄송하다는 애매한 말 대신 왜 그런실수가 일어났는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황부터 설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는 죄송하다고 말하지말라.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말. 그럼..제가 해볼게요.~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이 당신 업무 외적인 일에 자주 나선다면 조직은 그걸 당연시하게 된다. 그만큼 당신이 가치를 발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무언가 당신이 그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때만 나서라.
우선 당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분류해보자.
당신이 반드시 끝내야 하는 일 당신이 하면 좋지만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일, 당신이 하지 않아도 상관 없는일이 있을 것이다.
이중 세번째 업무는 머리속에서 지워라.
제일 우선시해야 할것은 당연하게 첫번째 일이다.
바로 이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쓸데없는 일에는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말이다.
두번째 업무는 첫번째에 가까우면서 당신에게 이로운 것을 가려서 취사선택하라.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조직은 각양각색의 사람이 모인 곳이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수도 있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에 대해 혹은 업무에 대해 확신이 선 상태에서 일을 추진할 경우 태클 세력들에 대해 왜요? 뭐가 잘못됐죠? 하고 되묻지말라.
쓸데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일이다
 

출처: http://blog.daum.net/hdjy1024/9477008

Trackback:    Comment:
위로
영어몰입교육과 글로벌 콜센터
Scraps | 2008. 2. 7. 16:05

세계수준의 전문성 확보가 곧 경쟁력,
전문성 없는 영어회화 능력은 다국적 기업 콜센터로 가는 지름길

서대웅 美인텔사 기술제조총괄 연구원 공학박사


새 정부 인수위의 영어몰입교육이 논란을 빚고 있다. 내가 보기에 영어몰입교육의 취지는 대략 두 가지로 요약되는 것 같다. 하나는 기러기 아빠로 대변되는 조기유학 열풍과 교육양극화의 해소다. 그런데 조기유학은, 개선되지 않는 입시지옥, 획일적인 암기식 교육, 국내 기업 취직에도 도움이 안 되는 국내 대학들의 경쟁력, 줄어드는 직업 안정성, 불확실한 미래에 미국 대학 졸업장이라도 붙들려는 학부모들의 몸부림이 진정한 이유다.

또 다른 이유는 국가경쟁력 강화일 것이다. 영어능력 향상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면, 아마 이는 다국적 기업들의 한국 투자나 한국산 제품의 구매가 한국인의 향상된 영어능력으로 인해 증가할 것이라는 시나리오에 바탕을 둔 것일 수 있겠다.
한번 필자가 일하는 회사를 보자. 임직원 중 40%가 미국 밖에서 일하는 외국인이고, 미국 내 임직원도 상당수가 필자 같은 외국인 노동자인 다국적 기업이다. 회사 회의실에선 세계 각국 출신 기술자들이 발표하고, 토론하고, 때로는 언성을 높이면서 자신들의 주장을 편다. 여기엔 원어민 수준의 영어부터 인도의 시장에서 쓰이는 영어까지 다양한 영어가 혼용되고 있다. 중요한 사실은 이 환경에서 영어발음의 유려함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오로지 아이디어 창출능력과 문제 분석 및 해결 능력, 계획 실행능력,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능력만이 중요할 뿐이다. 글로벌시대 최대 경쟁력은 해당 분야의 실력임을 필자는 매일 몸으로 느끼며 살고 있다.

우리 회사는 수많은 일본 업체로부터 장비와 재료를 공동개발하고 천문학적인 구매를 하고 있다. 이들 업체와의 회의엔 보통 통역이 배석하는데, 이유는 일본 기술자들과 영어로 소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기술력, 품질, 일 처리의 깔끔함, 고객지상주의 등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바로 이것이 일본 업체들, 나아가 일본의 경쟁력이다.

21세기 글로벌한 인재에게 필요한 능력은 자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전문성, 적극성, 조직 적응력, 리더십, 그리고 자신의 분야에서 각국의 전문가들과 난상토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지 원어민의 발음을 흉내 내는 생활영어 수준의 영어가 아니다. 인도에 다국적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건 세계수준의 이공계 인력을 낮은 인건비로 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재들이 없다면 인도에는 미국 소비자들의 불평을 접수하는 '콜 센터(call center)'만 남게 될 것이다. 내용 없는 영어회화 능력은 다국적 기업의 콜센터로 전락하는 지름길이다.

새 정부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Good-to-have(하면 좋은 일/영어능력향상)'에 매달리다 'Must-have(꼭 해야 할 일/우수 이공계 인력 양성, 정부조직 부정부패 척결, 간소한 행정절차 등)'를 소홀히 하지 않기를 바란다.

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2/05/2008020501325.html

Trackback:    Comment:
위로
혼을 담다
Scraps | 2008. 1. 7. 22:10


이 사람아! 혼을 담아야 천년의 소리가 나오는 거야.

잔재주 부리면 끝이야! 끝!
 

중요무형문화재 주철장 원광식

Trackback:    Comment:
위로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216)
Photo (110)
MAC (1)
Run Business (18)
Spit Words (14)
Tech (2)
Optic Engineering (1)
Music (1)
Scraps (51)
Old Archive (12)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보이기/숨기기 가능합니다^^
RSSFeed